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pring

[JAVA] 효과적인 Logging 14가지 가이드 실제 운영 상태에서 디버깅, 모니터링 및 사고 대응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로그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는 SLF4J, log4j, log4j2, logback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Spring에서는 기본으로 logback을 쓰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모범적인 사례들을 따르면 SLF4J와 Logback을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리 및 사고 해결을 위한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사용할경우 문제 해결 속도가 빨라지고, 시스템 동작에 대한 더 깊은 이해가 이루지며 애플리케이션 안정성과 성능을 위한 견고한 기반이 구축될 것입니다. 이러한 효과적인 로깅의 주는 이점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관측성  향상: 로그는 애플리케이션 동작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 제공하므로 시스템 작동 방식을 더 쉽게 이해하.. 더보기
[Spring Boot] Spring Boot Test에서 @Autowried와 @InjectMocks 사용 요즘 Unit Test에 대한 관심이 많아 졌으나 개인적으로 실제 대충 사용하여 잘 모르는 부분입니다.특히 모듈로 분리하였을 경우 Test가 힘든 점이 있어 Test의 관련된 내용을 조금 정리하고자 합니다.그 중 Spring Boot의 @Autowired와 Mockito의 @InjectMocks을 Spring Boot Tests에 의존성을 주입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테스트 진행할 것입니다.테스트 주석의 이해Mockito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Mock주석은테스트를 위한 종속성의 모의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이는 종종 @Mock으로 표시된 모의를 테스트 중인 대상 객체에 주입하는 @InjectMocks와 함께 사용되곤 합니다.Spring Boot의 주석 @MockBean은 모의된 Spring .. 더보기
[Spring Boot] Gradle 라이브러리 추가후 반드시 해야하는 작업 [Spring Boot] Gradle 라이브러리 추가후 반드시 해야하는 작업 메이븐 같은 경우 의존성 라이브러리를 추가하고 저장만 하면 자동으로 빌드되어 라이브러리를 받고 적용하지만gradle같은 경우 반드시 refrash를 해주어야 한다.글쓴이는 이클립스를 사용하므로 이클립스에서 refrash를 하는 방법을 적어 놓는다.가장 간단한 방법은 단축키 :: Ctrl + F5 (Refrash All) ↵ 모두 새로고치면 된다.다른 방법은 아래와 같은 순서대로 클릭질만 하면 된다. 클릭질 :: 해당 프로젝트 우클릭 > GRADLE > refrash All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로 새로고친 후에 실행하면 되겠다. 더보기

728x90
반응형